2025년 직장 가입자 건강보험료 납부 산정기준, 계산 환급조회
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직장 가입자 건강보험료 납부 산정기준, 계산 환급조회

fastroad 2025. 5. 7. 15:26
반응형

2025년 기준으로 바뀐 보험료율과 산정 방식, 그리고 지역 가입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수있는 계산방식까지 모두 쉽게 볼수있도록 건강보험료 계산법, 산정기준, 환급받는 방법 까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. 

 

✔️건강보험료 계산방법 및 계산기(제공)

– 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 산정 기준과 계산 방법

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기본적으로 월 소득(보수)에 비례해 많이 벌면 더 많이 내고, 적게 벌면 더 적게 냅니다.

여기에 일정 비율(보험료율)을 곱해서 본인과 회사가 각각 절반씩 부담합니다.

2025년 기준 건강보험료율
건강보험료율: 약 7.09% (매년 조정됨)
장기요양보험료율: 건강보험료의 약 12.81% 별도 부과

- 계산 방법

건강보험료 = 월 소득 × 보험료율 × 50%
장기요양보험료 = 건강보험료 × 장기요양보험료율

- 건강보험료 예시 계산

월급여가 300만 원이라면,

  •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: 약 106,350원
  • 장기요양보험료 본인 부담: 약 13,620원
    👉 총 약 119,970원 납부

- 직장보험료&지역보험료 계산기 ( 직접 계산을 해보시면 정확합니다 )

위에 모의계산기 바로가기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. 

 

나의 세전 월급 금액을 넣어서 계산을 해보시면 정확하게 알수있습니다. 

 

직장보험료와 지역보험료 계산방법은 다르니 꼭 모의대상자 선택 체크 확인하고 계산하세요!!  

 

✔️내가 낸 건강 보험료, 환급 받는 방법 

의외로 많은 분들이 보험료를 과납한 경우, 환급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. 특히 이직, 퇴사, 소득 오류 신고, 피부양자 자격 변경 등이 있을 때 환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건강보험료 환급 조회 방법 ( 홈페이지 & 전화) 

  1. 보험료 환급금 조회/신청 메뉴 선택
  2.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
  3. 본인 명의의 환급 대상 여부 및 금액 확인 가능

위에 홈페이지로 눌러서 들어가면 아래 화면창이 나옵니다.

맨 앞 화면의 자주 찾는 서비스에서 빨간색으로 표시한 환급금 조회 신청하기를 누르면 바로 환급조회가 가능합니다 ^^ 

📞 전화로 확인하기

  •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: 1577-1000
반응형